나테커 9번째 이야기 오늘은 지난 번 소개한 5가지 성공 습관 중 '생각하는 습관'에 대해서 여러분과 생각을 공유하려고 합니다.
대부분 인간은 자신이 스스로 생각을 한다고 착각합니다. 여기서 생각은 자신의 가치관, 목표, 취향 등 일체를 뜻합니다. 대부분 인간이 생각이 없다니, 조금 충격적인 표현일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이는 사실 당연한 일입니다.
제가 겪었던 간단한 사례를 몇 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MGmc/btrXJVmnMM6/RAysvYN3qhz7wQQk9B22T1/img.jpg)
대학교 입시를 앞두던 고등학교 3학년 때 일입니다. 선생님께서 자신이 원하는 전공을 정한 사람이 있는지 묻습니다. 38명의 반 친구들 중 전공을 정한 사람은 2명, 저를 포함하면 3명 뿐이었습니다.
조리학과, 정치외교학과, 그리고 경영학과. 학과까지 뚜렷히 기억하는 걸 보면 당시 충격이 엄청 컸던 것 같습니다. 12년 동안 공부를 했는데 대부분 친구는 자신이 원하는 전공에 대한 생각이 없었습니다. 때문에 대부분 성적에 맞춰서, 아니면 주변의 추천으로 학과를 정했습니다.
다른 사례는 아동센터에서 봉사할 때 일입니다. 당시엔 초등학교 여학생 사이에서 워너원 강다니엘의 인기가 무척 뜨거웠습니다. 아동센터에 다니는 수십 명 대부분 강다니엘 노래만 듣고, 강다니엘 사진만 핸드폰 배경화면으로 했습니다.
그런데 한 아이가 나는 워너원 박지훈을 좋아한다고 자신의 생각을 살포시 말했습니다. 아동센터는 발칵 뒤집혔습니다. 어떻게 박지훈을 좋아하냐며 많은 아이들이 놀렸습니다. 결국 박지훈을 좋아하던 아이는 사실 자신도 강다니엘을 좋아한다고 어쩔 수 없이 말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BhFhD/btrXIy6lQPn/IDDFWkbUSjsduqZVG2ggl1/img.jpg)
그렇습니다. 인간의 90% 이상은 전공에 대한 생각이 없었고, 자신의 취향을 모른 채 유행에 휩쓸렸습니다. 물론 모집단이 극히 작은 만큼 위 사례로는 일반화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세상을 자세히 관찰해 보세요. 세상은 다르지 않습니다.
다만 대부분 사람이 생각이 없는 것은 그들의 잘못이 아닙니다. 우리가 스스로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 또 생각할 수 있는 환경, 그리고 이를 나눌 수 있는 인식이 조성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
12년 동안 우리가 받은 주입식 교육은 개인의 생각과 기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. 오직 남이 만든 문제, 사회가 정한 기준를 따르도록 했습니다. 남이 시키는 것을 군말 없이 잘 하는 것이 사회의 미덕이 되었습니다. 그 결과 우리는 무의식 속 남이 만든 생각을 '나는 생각이 있다'고 착각하게 되었습니다.
이제 제가 왜 대부분 사람은 생각이 없다는 다소 충격적인 표현을 했는지 이해하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. 생각이 없다는 표현은 자신의 가치관, 목표, 취향이 없다는 뜻입니다. 엄밀히 말하면 남이, 사회가 나의 생각을 정했다는 뜻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VmUc/btrXIPfSabM/EbHseVkktQKEI87MikPvKk/img.jpg)
세상을 바꾸는, 성공한 사람은 생각이 있는 소수의 사람입니다.
파레토 법칙. 80:20. 세계에 80%의 부는 20%의 부자가 소유하고 있습니다.
데일 카네기의 20명 중 1명 이야기. 그는 20명에게 강연을 하는 것은 쉽지만 그 중에 실천하는 사람은 1명 뿐이라 말했습니다.
닐슨의 90:9:1의 법칙. 인터넷 이용자 중 90%는 관망하고, 9%는 활동하고 ,1%는 콘텐츠를 생산하다는 법칙입니다.
닐슨의 법칙을 적용해서 제가 만든 나테커의 90:9:1의 법칙이 있습니다. 세상 90%의 사람은 생각 없이 살고, 9%만 생각하며, 그 중 1%만 성공한다는 의미입니다.
자신이 90%에 속한다고 성공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. 생각은 선천적인 것이 아닙니다. 생각의 힘은 스스로 기를 수 있습니다. 생각이 없냐, 있냐의 차이는 오로지 자신에게 달려 있습니다.
지금이라도 자신에게 스스로 질문해 보세요. 자신과 진정한 마음의 대화를 해 보세요. "나는 누구인지", "나의 목표는 무엇인지", "나는 무엇을 좋아하는지".
그리고 마지막, "인생은 ~이다". "나는 ~한 사람이다". 이를 한 마디로 정의해 보세요. 비로소 생각하는 습관이 시작될 될 것입니다. 그리고 상위 1%에 오르는 성공의 관문을 두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.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넷플릭스 계정 공유 제한 및 변경 내용 5가지 (0) | 2023.02.08 |
---|---|
블로그 사진 메타값 제거 방법 - 이미지 중복 방지 (0) | 2023.02.07 |
엑셀 이미지 변환하는 간단 방법 2가지 (0) | 2023.01.29 |
변리사 연봉 현실적인 금액 얼마일까 (1) | 2023.01.28 |
카카오톡 선물하기 환불 돈으로 받는 방법 (0) | 2023.01.27 |
댓글